■ 진행 :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석연 / 인하대 환경공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어제 동부아시아 지역 미세먼지에 대한 한중일 공동연구 요약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. 보고서에는 국내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의 영향이 평균 32%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한중일이 공동 연구한 내용을 처음으로 발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일각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내용, 조석연 인하대 환경공학과 교수님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십니까? 이번에 발표된 보고서가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시는지요? <br /> <br />[조석연] <br />사실 우리가 현재 과학기술로는 대기오염 물질 농도를 예측할 수가 있고요. 그리고 또한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양도 계산할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것은 새로운 건 아닌데 다만 그것이 수학적 모델을 쓰다 보니까 서로 인정하기 어려운 과정에서 이번 보고서는 3개의 나라가 서로 인정할 수 있는 수치의 숫자를 만들었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중일 과학자들이 2000년부터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연구를 했다는데 19년이 지나서 결과가 발표됐습니다. 이렇게 발표가 늦어진 데는 이유가 있습니까? <br /> <br />[조석연] <br />이게 처음에는 서로의 기술력이나 아니면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 상당히 많이 달랐기 때문에 그런 것을 어느 정도 수준까지 올리는 데 많은 역할을 했고요. <br /> <br />그리고 또한 우리 전 세계적으로 과학적으로도 기여도를 개선하는 데 정확도가 낮아서 시간이 걸렸고, 그러다 보니까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기로 약속해서 그래서 오랫동안 굳어졌기 때문에 갑자기 공개한다고 하니까 어떤 거기에 대해서 확실하게 자기네들이 검증 과정을 못 거쳤다. <br /> <br />그래서 공개하는 것이 1년 늦춰져서 올해 공개된 거고요. 실제로 공개를 하려고 했으면 그렇게 못 할 이유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군요. 이번에 초미세먼지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이뤄진 건가요? <br /> <br />[조석연] <br />앞에서도 공동연구라고 말씀하셨는데 사실은 이게 공동연구는 아니고요. 3개의 나라가 연구주제를 정해놓고 각자 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각자 배출량을 중국은 중국을 구하고 우리나라는 우리나라를 구하고요. 일본은 일본을 구하고 모델도 각자 돌려서 그 보고서 3개를 그냥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12115082148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